스캘핑 초단타 높은승률 매매기법 안녕하세요 지난번에는 단타매매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 스캘핑은 어떻게 하는건지 또 여쭤보시는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
그래서 오늘은 높은 승률을 자랑하는 스캘핑 매매기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초치기, 분치기라고 불리고 일명 초단타로 하루를 넘기지 않고 매수, 매도를 통해 수익을 내는 매매기법이며 장투가 어렵거나 전업투자자, 프리랜서한테 맞는매매기법입니다.
비중 조절만 잘하면 단기간 안에 큰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으나 스캘핑은 초보가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니 무리한 포지션 진입은 하지않아야 하고 이 기법이 본인에게 맞지 않는 매매기법일 수 있으니 자신만의 일정한 기한을 두고 꾸준히 연습하기를 추천드립니다.
승률을 높일 수 있는 스켈핑 매매기법
1) 거래량과 움직임을 파악하기
초치기, 분치기로 빠르게 매매하는 만큼 거래량이 뒷받침이 되어야 빠르게 매수, 매도 포지션을 잡을 수 있다. 만약, 손절을 원한다면 한 호가 안에 시장가 손절이 가능한지 파악해야하며 나의 자금이 크다면 종목의 거래량과 유동성을 파악 후 스캘핑을 해아합니다.
2) 진입시점 파악하기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2시간, 일봉, 주봉 등으로 미리 추세를 파악하고 5분봉 차트에서 긴 음봉이 2개 이상 발생 하면 무조건 매수를 합니다.
음봉이 이어서 연속 발생하면 물타기 매수를 하고 긴 음봉이 2개 이상 발생하지 않더라도 음봉 하나로 위아래로 빠르게 움직이면 스캘링 기회입니다.
또한 전체적으로 상승 추세 중 조정으로 보이는 음봉이 나오면 올라가려는 힘이 강한 것이니 스캘핑 할 수 있는 기회죠.
3) 패턴을 분석하기 - 추세매매
스캘핑 기법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패턴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며 이 중 추세매매는 위, 아래 지지와 저항을 맡고 결국 추세에 따라가는 매매입니다.
매수 추세일 때 저항을 맞고 떨어지다가 저항을 돌파하는 순간 돌파 매수로 진입가능, 매도의 추세일 때도 지지를 뚫고 내려갈 때 돌파 매도로 진입해서 익절할 수 있습니다.
4)) 패턴을 분석하기 - 변곡매매
위의 변곡매매 그림을 보면 ①-③은 매수의 추세고 ④-⑥은 매도의 추세입니다.
변곡매매는 매수, 매도의 추세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고 추세가 바뀌는 지점을 이용해 매매를 할 수 있죠.
고점과 저점에서는 변곡이 예측불가하니 추세가 완전히 꺾이는 구간에서 변곡 매매를 시도해야합니다.
4) 익절가/ 손절가 설정
패턴만 믿고 매매에 뛰어들기에는 위험요소가 있기 때문에 지지, 저항선을 확실히 확인 후 매수, 매도 포지션에 들어가야하며 , 추세와 지지 저항선을 확인 후 포지션 진입을 하였다면 동시에 익절가, 손절가를 미리 설정해야합니다.
스캘핑기법의 단점은 빠른속도로 예측할 수 없이 폭락하는 차트에는 대응이 불가능합니다.
음봉마다 물타기를 해야하는데 한순간 반토막이 나버리면 청산 열차타는 것이고 한방에 크게 청산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금을 자주자주 출금해서 리크스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설명한 스캘핑기법은 처음 시작하는 경우 반드시 소액으로 충분한 연습을 한 후 본인만의 노하루를 찾으시는거도 방법입니다.
다들 챗바퀴돌듯 답답해마시고 꼭 연습을 통해서 높은 승률을 만들어 나가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커뮤니티 아이디어
비트코인 CME Gap 갭 이란? 비트코인 현황을 해석하다.안녕하세요,
연말이 다가오며 이제 다시 쌀쌀한 겨울이 다가옵니다. 모두 추운겨울 잘 대비하시고, 건강하게 잘 지내시길 바라며, 오늘 블로그는 비트코인 CME gap 이라는것에 대해 알아보면서, 이것이 현제 비트코인 가격 (최고점 38500달러 도달) 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CME (Chicago Mercantile Exchange) 라는 기업은, 1898년에 설립된 아주 역사깊은 기업입니다. CME 를 다 소개하기에는 방대한점이 있어 중요포인트만 최대한 짧게 하고 넘어갑니다. CME 는 일단 모든 주식거래소들에 대한 ownership (오너쉽) 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다우존스 (Dow Jones), S&P, New York Mercantile Exchange (NYMEX) 등 세계에서 가장 큰 거래소들의 중심에 있다보시면 됩니다. 그냥 오너쉽은 아니고, 선물에 관한 오너쉽입니다. 선물은 영어로 derivative, 그리고 요즘은 future 라고 더 많이 불립니다. 선물매매란 미래를 예측하는 거래로, 예측이 맞았을시에 수익을 보는구조며 매수(롱)과 매도(숏) 포지션을 가질수 있습니다.
CME 는 합법적인 회사며 선물거래는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렇게 큰 대기업이 2017년부터 비트코인에 발을 들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비트코인도 그때부터 합법적으로 선물거래가 가능해지기 시작하며, 또한 CME 그룹에서도 비트코인의 매매를 지금도 하고있습니다.
현제 총 137 명의 CME 트래이더들이 거래를 하고있습니다. 회사에서 지원해주는 트래이더들.. 어떻게 보면 트래이더들한테는 로망의 직업일수도 있겠습니다.
여하튼, CME 의 매년 총 거래량은 천조 (0이 15개) 며, 천문학적인 숫자입니다. 단 이중 얼마나 많은 거래량이 비트코인에 쓰이는지는 알수없으나, 모든 개미들이 모여서 거래를 한다해도, 절대 따라갈수 없는 숫자인건 확실합니다. 그래서 CME 가 중요한것입니다.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그렇다면 CME gap 이란 무엇인가?
Chicago Mercantile Exchange 는 선물거래를 금요일 오후 4시에 마감, 일요일 오후 5시에 다시 오픈합니다. 단, 이시간대는 Central Time, 미국 중부기준입니다. 한국기준으로는, 토요일 오전 6시마감하고, 월요일 오전 7시에 엽니다.
바로 이시간대가 비트코인 CME 차트로 볼시에, 비어있는 공간, 즉 Gap 이 생기는 구간입니다.
비트코인 4시간 봉입니다. 이런식으로 갭이 있으며, 매주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 저렇게 큰 갭은 자주 안나오고 오히려 크기가 작은 갭도 자주 나오니 그점만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왜 CME Gap 이 매매관점에서 중요한가?
그건바로 이 CME gap 이 자석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번 gap 이생기면, 언젠가는 그구간을 자석처럼 다시 돌려지는 높은 확률이 있습니다. 즉, 이점을 여러분의 매매관점에 추가해, 매매, 또는 매도를 선물에서 쓰실수 있는것입니다.
단 gap 을 몇주뒤, 또는 몇달, 심지어 몇년뒤에 되돌려 갈수도 있기에, 섣부른 매매는 오히려 독이될수있는점만 참고하시면 됩니다.
자 그럼 마지막으로 현제 비트코인 기준으로 차트를 보고 마치겠습니다.
비트코인 8시간봉 기준입니다. 1년 반전쯤의 비트코인가격인 35k 의 갭은 최근에 채우고 상승하였습니다. 그럼 남은 갭은 저위에 45.5k 구간입니다. 40k 주변에도 갭이 있는듯 보이지만 저구간들은 이미 위아래 움직임으로 이미 과거에 채워졌다 보는게 정석이긴 합니다 (꼭은 아닌것을 참조). 하지만 경험상 저렇게 큰 사이즈의 갭이 결국에는 도착하는 지점으로 된경우가 많았기에, 확률상 45.5k 가 높다는것입니다.
이 차트는 트래이딩뷰(TradingView) 의 Bitcoin CME Futures 라는 차트를 여셔야 합니다.
Bitcoin CME 차트는 일반 비트코인 차트와는 gap 부분만 다릅니다. 암호화폐는 24시간 돌아가기에 주식과는 다르게 gap 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CME 같은 세력이 만들어내는 차트를 우린 유심히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유익한 정보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단타 필승 매매전략법!!오늘은 15분봉에서 사용할수 있는 단타전략을 소개드릴까 합니다
이전략은 2020년 미국의 한 비트코인 수익률 대회에서 Oliver Keel이라는 대학생이 우승을 할때
사용하였던 전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수익율은 약 1000%퍼센트 정도로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달성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우선 트레이딩뷰의 지표 메뉴를 눌러서 생긴 박스에 10 in 1이라고 써넣으시면 hiimannshu가
제작한 지표가 있는데요 선택하여 줍니다
10 in 1보조지표는 1개의 보조지표만을 사용하는데도 10개까지의 각종이평선들을 내마음데로
설정하여 화면에 보여줄수 있게하는 아주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입니다
왼쪽위의 보조지표 설정란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하여 주면 설정창이 뜹니다
여기서 MA1 MA2 MA3을 모두 선택하여 주고요 오른쪽 박스에는 차례대로 200 60 6을 입력
하여 줍니다 오른쪽 색상은 설명상 녹색 파란색 하얀색 순으로 선택하여 줍니다
그럼 이제 화면에는 1개의 보조지료만을 사용하였음에도 6이평선 20이평선 그리고 200이평선
이 나타나게 됩니다 각각 색상은 흰색 파란색 녹색 입니다
그리고 15분봉전략이므로 시간 프레임을 15분으로 변경하여 줍니다
우선 롱 포지션 진입조건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첫번째 조건은 하얀색선6이평선이 파란색선20이평선을 아래서 위로 통과골든크로스하는 것입니다
2 두번째는 2번 2번 동그라미 안의 캔들처럼 6이평선과 어느정도 간격이 떨어져 있는 떠있는 캔
들을 찾습니다 이때 떠있는 캔들은 윗꼬리가 있으면 좋지만 아래꼬리가 있으면 좋지 않습니다
아래꼬리는 없거나 있어도 짧아야 하며 6이평선과 어느정도 간격이 떠있어야 됩니다
3 2번의 떠있는 캔들 다음 캔들의 캔들조건은 3번처럼 2번캔들보다 최고점이 낮아야 하며 몇개
가 나타나든 간에 몸통이든 아래꼬리든 6이평선이나 20이평선에 닿아야 합니다
이때 저같은 경우는 처음 6일선에 닿거나 조금 아래에서 일부분 롱포지션을 진입하고 만약 더 내려오면 20일선이나20일선 조금 아래에서 한번 더 포지션을 진입합니다
그러니까 분할진입을 할때도 있습니다
비트코인을 예로들면 익절은 작게는 100불에서 크게는 400500불까지도 하는 편인데 정해져있
는 것이 아니므로 부분익절을 추천드립니다 손절은 두번 진입한 이후에 평단에서 150불정도에
서 하는 편입니다
예시를 하나 더 보겠습니다.
1번에서 하얀선에 파란선을 아래서 위로 뚫고 올라갔고골든크로스 이후에 2번쯤에서 윗꼬리 떠
있는 캔들이 나왔습니다
이후에 3번쯤에서 흰선에 닿아서 1차 매수를 들어갔습니다 가격은 상승하여 4번지점 정도에서 1
차 익절을하고 이후 5번부분쯤에서 2차 익절이 가능한 모습입니다
사례의 경우 2차 매수까지 가지 않은 경우입니다
역시 1번 부분에서 골든크로스가 났고 2번부분에서 윗꼬리 붕뜬캔들이 나타났습니다
3번부근 쯤에서 흰선에서 1차 매수를 하고 4번부근쯤에서 파란색선에서 2차 매수를 한 모양입니다 가격은 이후 크게 상승을 하여 어디서 익절을 해도 좋았던 사례입니다
참고로 또하나의 팁을 드리자면 아무래도 롱 포지션의 경우에는 이 모든 과정이 녹색선200이평
선위에서 이루어질때 보다 성공할 확률도 높고 익절구간도 커질 확률이 큽니다
숏포지션 진입조건은 정확히 롱포지션 진입조건의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번 부근에서 흰선이 파란선을 아래로 뚫고 내려갔고데드크로스 2번 부근에서 떠있는 아래꼬리
캔들이 나타났습니다 이후 가격이 흰선부근에 왔을때 3번지점쯤에서 숏포지션 1차 진입을 합니
다 이후 가격은 계속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사례의 경우는 2차 매수는 필요가 없었습니다 롱포지션 진입조건의 경우에는 떠있는 윗꼬리캔들
을 찾는 것이었다면 숏포지션 진입조건의 경우에는 떠있는 아래꼬리캔들을 찾으면 됩니다
숏 포지션의 경우는 이 모든 과정이 녹색선200이평선 아래에서 이루어질때 더 성공할 확률도 높
고 익절폭도 커지게 됩니다
이 전략은 15분정도의 시간봉에서 하는것이 가장 익절폭과 하루에 오는 진입타점의 균형이 맞아
보입니다 어떤 시간프레임에서도 가능한 전략이지만 작은 시간봉일수록 그만큼 익절폭은 줄고 실
패확률도 커진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활용하여 매매하면서 본인에게 더 맞게끔 본인의 방식으로 만들어가시는거도 방법입니다.
꼭 잘 사용하셔서 더 높은 승률만들어 내시길 바랍니다.
하모닉패턴 보는방법.
안녕하세요 넵튠입니다.
오늘은 하모닉패턴을 보는 법을 가져왔는데요.
<하모닉패턴이란>
하모닉패턴은 주가 차트 상에서
특정한 기하학적인 모양을 나타내는 차트 패턴을 의미하며
이러한 패턴들은 주가의 향방을 예측하거나
특정한 매매 신호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모닉패턴으로는 많은 패턴이 있지만 오늘은 단순하고
하모닉의 기초가 되는 패턴인 Bearish AB=CD Pattern , Bullish AB=CD Pattern 패턴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B=CD 패턴은 시장에서의 기술적 분석에서 사용되는 하모닉패턴 중 하나로
이 패턴은 주가 차트에서 특정한 형태를 이루는데
각 구간마다 길이가 서로 일정한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1. Bearish AB=CD Pattern
Bearish ABCD 파동은 3가지 법칙이 있습니다.
(Bearish)란 약세를 의미하며 조정이 오는 구간을 특정할때 사용합니다.
1. A-B 상승 움직임: 최초의 움직임은 상승 추세를 나타내며
주가가 상승하는 동안 A에서 B로 이동합니다.
2.B-C 조정: A에서 B로의 상승 이후에는 어느 정도의 조정이 발생합니다.
이 조정 단계에서는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합니다.
3.C-D 하락 움직임: B에서 C로의 조정 이후에는 다시 하락 추세로 진행하며
이때 주가는 C에서 D로 이동합니다. AB와 CD 간의 길이는 특정한 비율을 유지합니다.
2. Bullish AB=CD Pattern
Bullish ABCD 파동의 경우에도 비슷한 3가지 법칙이 있으며
(Bullish)란 강세를 의미하며 오는 구간을 특정할때 사용합니다.
1.A-B 하락 움직임: 최초의 움직임은 하락 추세를 나타내며
주가가 하락하는 동안 A에서 B로 이동합니다.
2.B-C 조정: A에서 B로의 하락 이후에는 어느 정도의 조정이 발생합니다.
이 조정 단계에서는 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합니다.
3.C-D 상승 움직임: B에서 C로의 조정 이후에는 다시 상승 추세로 진행하며
이때 주가는 C에서 D로 이동합니다. AB와 CD 간의 길이는 특정한 비율을 유지합니다.
이평선 하나만으로 5분봉 스켈핑&추세 정복 하는 법
안녕하세요. 할머니의 하모닉입니다.
오늘도 저번 시간에 이어 이평선 관련 매매법을 가지고 왔어요.
저는 매매법은 단순할수록 좋다고 생각해서
이평선과 RSI를 상당히 사랑한답니다.
단순한 게 좋다는 사람이 하모닉은 어떻게 하냐구요?
...
오늘 강의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강의도 참 쉽습니다.
ema 3개와 5분봉만 있으면 돼요.
ema는 25, 50, 100으로 세팅해줍니다.
준비가 다 되셨나요? 이 간단한 준비물로 어떻게 매매를 할 수 있는지 한 번 봅시다.
1단계는 Out of Trend를 찾는 것입니다.
거창한 것은 아니구요, 딱 두가지만 확인 하면 됩니다.
첫 번째, 캔들이 이평선 밖에 위치해야 한다.
두 번째, 이평선의 간격이 넓어져야 한다.
이러한 상황을 발견했다면 2단계로 넘어갑시다.
2단계는 찍먹충 검거입니다.
이평선을 찍고 오는 순간을 기다리는 거죠.
근본이 부먹인데 이평선을 찍먹하는 괘씸한 캔들을 가만히 둘 순 없겠죠?
25이평이나 50이평을 찍먹하고 오는 캔들을 검거해줍시다.
단! 100이평까지 푸욱 찍어먹는 캔들이 나온다면 이는 추세 전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3단계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3단계. 진입을 합니다.
종가를 기준으로 진입을 하고 손절은 50ema에 걸어둡니다.
손익비는 최소 1 : 1.5로 잡습니다.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 같다?
본인의 근거를 더해서 익절을 하시면 됩니다.
다만 진입 후 깔끔하게 손익절을 걸어두고 구경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손익비를 통해 기계적인 매매가 연속돼야 일관성을 바탕으로 자산을 늘려갈 수 있기 때문이죠.
설명드린 숏은 추세에 힘입어 연속된 하락이 나왔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보며 마무리하겠습니다.
셋업 발견 1
손익비 설정 및 진입 1
익절 완료 1
셋업 발견 2
손익비 설정 및 진입 2
익절 완료 2
셋업 발견 3
손익비 설정 및 진입 3
익절 완료 3
-----
너무 쉽죠? 보여드린 예시는 다 최근에 있었던 무빙입니다.
5분봉에서 Out of Trend가 은근히 잘 안 나오고, 나온다면 추세가 꽤나 힘이 있을 때 나오기에 승률도 좋은 매매법입니다.
기계적인 매매로 부자가 한 번 돼봅시다.
다음에도 따라하기 쉽고 효과적인 매매법을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할모닉이었습니다.
삼각수렴 패턴 및 대응방법 오늘은 요새 자주 출몰하는 패턴중에 하나인 삼각수렴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차트를 보다 보면 삼각수렴이 자주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각수렴은 발산된 주가(가격)이 어느 지점에 도달하면 매수세와 매도세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생기며 이 삼각수렴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삼각수렴의 입구 크기만큼 주가(가격)이 진행되는 성향이 있습니다.
삼각수렴은 크게 3종류가 있습니다.
1) 윗변이 수평이고, 아랫변이 상승하는 어센딩 트라이앵글
2) 윗변이 하락하고, 아랫변이 상승하는 시메티컬 트라이앵글(대칭삼각형)
3) 윗변이 하락하고, 아랫변이 수평인 디센딩 트라이앵글입니다.
아래에 나온 깃발형은 상승할 때 어센딩 트라이앵글 혹은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이 나옵니다.
주가의 진행방향이 상승->삼각수렴-> 상승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하락할 때는 디센딩 트라이앵글 혹은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이 나옵니다.
주가의 진행방향이 하락->삼각수렴-> 하락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어센딩 트라이앵글은 보통 상승방향으로 주가가 향하며, 디센딩 트라이앵글은 보통 하락방향으로
주가가 향합니다.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의 경우 방향성이 정해져있지 않기 때문에 삼각수렴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돌파 매매를 주로 하는 편이며, 손절라인도 명확합니다.
하지만 시메티컬 트라이앵글이라도 보통 주가의 진행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예측한 반대방향의 추세선을 손절라인으로 두고 선진입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엘리엇웨이브 이론에 따르면, 삼각수렴은 마지막파동의 이전 파동(5파 이전인 4파 횡보조정 or C파 이전인 B파 횡보조정)과 복합조정의 마지막파동(WXY의 Y or WXYXZ의 Z파동)에서 나온다고 설
명되어져 있습니다.
엘리엇웨이브에서는 그래서 4파에서 삼각수렴을 할 경우 5파동이 추진파동으로 삼각수렴 입구 크
기만큼 나오며, 이 추진파동의 예측범위를 벗어날 경우 5파동이 연장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엘리엇웨이브를 사용할줄 아신다면 삼각수렴에 좀 더 쉽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하모닉패턴 관점에서는 삼각수렴은 Retracement Pattern과 Projection Pattern의 A포인트, B포
인트, C포인트 사이에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엘리엇웨이브 B파 조정부근이기 때문이죠.
위의 엘리엇웨이브와 하모닉패턴의 경우는 해당이론을 공부하신다면 제가 하는 얘기가 이해가실 것 입니다.
삼각수렴의 두드러진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거래량입니다.
삼각수렴과 웻지형은 주가가 수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주가가 수렴하면서 거래량 또한 감소하게 됩니다.
감소된 거래량은 주가가 방향성을 가지고 삼각수렴의 한 변을 돌파할 때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것은 추세가 진행됨을 의미합니다.
만약 삼각수렴이라고 생각했지만 눈에 띄는 거래량이 나오지 않았다면 그것은 삼각수렴이 아니며, 휩쏘일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1) 엘리엇웨이브 ABCD파동까지 단타매매를 한 후, E파동을 기다리며 파동이 나온 후 여러 시그널
을 따라서 진입 후 손절은 반대쪽 변으로 잡는 방법
(공격적인 매매방법이며, 손절을 잡아두지 않는다면 절대 비추천합니다.)
2) 엘리엇웨이브 ABCDE파동까지 나온 후 거래량을 동반하여 삼각수렴을 돌파하는 흐름이 나올 경
우 진행 방향을 따라하는 매매 방법
(보수적인 매매방법이며, 추세추종 매매이기 때문에 손절위험이적습니다. 다만 1번의 방법보다 진입가격이 불리합니다.)
3) 엘리엇웨이브를 모르겠다 싶으면, 상승 깃발형 혹은 하락 깃발형을 염두에 두고 돌파되는 방향으로 매매하는 방법입니다.
휩쏘만 주의해서 매매하신다면 비교적 수익을 얻기 쉬우며, 이때 진행방향쪽으로 이평이나 스토캐스틱 등의 시그널이 일치하는지 확인해주세요.
이평이나 스토캐스틱 시그널의 일치는 1번과 2번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4) 삼각수렴부근에서 아예 매매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추세추종매매가 가장 명확하고 수익을 취하기 좋으며, 횡보 및 수렴할 때는 매매를 지양하는 것이 자산을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거래량을 동반한채 삼각수렴을 돌파한다 하더라도 간혹 휩쏘라는 거짓돌파가 나올 수 있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대응이 안되는 분은 삼각수렴 자체를 매매하지 않는 구간으로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고점이나 저점에서 삼각수렴처럼 보이는 매집 구간(롱포지션, 숏포지션)이 나타납니다. 이것을 깃발형이나 엘리엇웨이브 4파 조정으로 보고 손절 없이 미리 진입했다가 크게 물리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며, 분석하였다고 하더라도 손절은 필수입니다.
모든 매매는 예측을 하지만 다른 매매시그널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해야 하며, 잘 모르겠으면 관망하 여 시드를 보존하는 것이 최고의 매매방법입니다.
지금 벌지 않더라도 시드가 있으면 언제든 벌 수 있지만, 지금 잃으면 시드를 복구해야하는 데 더 많은 수익이 필요합니다.
매매를 하지 않은만 못하죠.
차트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대응이 불가능하신 분은 4번대로 매매를 지양해주세요.
매매기회는 수없이 많습니다.
차트 분석과 거래 전략은 다릅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36426.87 부근에서 지지 받고 1차 저항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1월 16일경(11월 15일-17일)입니다.
36426.87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32917.17-34110.32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번 상승세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29850.4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위의 내용으로 차트를 분석하였다면, 과연 어떻게 거래를 시작해야 하는가, 즉, 거래 전략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일단 차트 분석으로 어느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하기 시작하면 되겠다라고 정하였지만, 막상 매수하려면 여러 가지를 더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1. 분할 매수로 할 것인가, 분할 매수로 매수한다면, 몇 번의 분할로 매수할 것인가.
2. 매수시 투자금은 얼마로 할 것인가.
3. 투자 기간을 단타 거래(day trading) ~ 장기 거래 중 어떻게 잡을 것인가.
4. 거래를 시작할 때, 손절 지점이나 목표 지점 등 거래 방식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 또한, 수익 실현 방식은 어떻게 할 것 인가
위의 예와 같이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를 생각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차트 분석이 마무리되어 매수 시기가 오면, 대충 얼마의 투자금으로 매수하고, 손절 지점과 목표 지점을 대략적으로 생각하고 거래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나서, 생각했던대로 차트가 움직인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때가서 위의 내용들을 고민하게 됩니다.
그러면, 가격 변동에 의해 자신의 생각이 좌지우지되기 때문에 엉뚱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서 거래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기본적인 거래 전략 개념이 잡혀 있어야 빠르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기본적인 거래 전략의 개념은 아래와 같은 예로 자신에게 맞게 설정하면 됩니다.
1. 투자 기간별로 매수 원금, 매수 방법, 매도 방법, 손절 지점 결정 방법, 수익 실현 방식을 정형화해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단타 거래(day trading)에서 부터 장기 거래까지의 투자 기간변로 기본적인 개념을 미리 정해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코인(토큰)별로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나누어 두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투자 기간별 매수 원금의 규모와 손절 지점을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2. 트레이딩은 결국 역발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평소에 생각하는 방식대로 생각하여 거래를 진행하여서는 안됩니다.
그러므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매도할 지점을 선택해야 하고,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매수할 지점을 선택해야 합니다.
하지만, 트레이딩에 익숙하지 않다면, 가격이 상승할 때 매수하려고 하고 가격이 하락할 때 매도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 트레이딩이므로 쉽게 익숙해질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생각의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때까지 적은 투자금으로 많은 거래를 하여 트레이딩에 익숙해질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3. 트레이딩은 심리 싸움입니다.
따라서, 심리적으로 쫓겨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그때부터 심리적으로 불안감, 부담감 등을 느끼게 되어 엉뚱한 방향으로 거래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거래를 시작하려고 할 때, 자신의 심리 상태가 어떠한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만일 심리적으로 흥분 상태, 즉, 불안한 상태라 판단된다면 거래 자체를 시작하여서는 안됩니다.
한 두번 거래를 시작하여 수익을 얻었다 하더라고 계속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 흥분 상태일 때 거래를 시작하게 되면 결국 큰 손실을 볼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4. 또한, 트레이딩은 확률 게임입니다.
따라서, 차트 분석을 통해 얻게 되는 여러 정보들을 종합하여 추세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차트 분석에서 얻는 정보들은 객관적인 정보들이 많아야 합니다.
자신이 공부한 파동이론이나 기타 패턴 등으로 이루어진 분석 기법들은 결국 자신의 심리가 적용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보다 차트의 지표를 활용하여 얻는 기본적인 정보, 즉, 객관적인 정보를 종합하여 더 높은 뱡향, 추세를 선택하여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차트 분석 기법은 엄청나게 많습니다.
하지만, 자신이 선택해야 하는 선택 지점이 있는 분석 기법은 결국 자신의 심리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위에서 말씀드린 3번의 심리전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트레이딩뷰에 퍼블리쉬되는 아이디어들을 보면, 파동이론과 하모닉패턴의 분석 기법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분석 기법은 훌륭한 분석 기법들이고, 많은 사용자로 하여금 검증된 분석 기법들 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내용과 같은 거래 전략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면, 차트 분석과 다른 거래를 진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 차트 분석 기법을 공부하기 전에 반드시 캔들과 이동평균선, 지지와 저항에 대한 개념을 먼저 공부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거래 전략을 만드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거래 전략을 어느 정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면, 그때가서 여러 고차원적인 차트 분석 기법에 대해서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다면, 고차원적인 차트 분석 기법은 필요없게 됩니다.
누차 말씀드리지만, 차트 분석이 거래 전략과 같다고 생각하고 차트 분석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면 할수록 자신의 거래 실력에 한계를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분석한 대로 거래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트레이딩에 대해서 부정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교육] 【 코인세상 톺아보기 : '의미' 있는 거래량 - 트레이딩 타점 잡기(1) 】…………………………………………………………………………………………………………………………………
⚡시작⚡
.
.
☘ 안녕하세요 국내 유일 피치포크 트레이더 Patan_TIGER 입니다.
피치포크(Pitchfork) 및 간 이론(Gann)을 통해 직관적이고 쉽게 매매합니다.
.
.
…………………………………………………………………………………………………………………………………
✔ 코인세상 톺아보기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 - 천천히 꼼꼼히 살펴보다. 라는 뜻의 우리말 단어입니다.
'파탄범의 코인세상 톺아보기에서'는 코인세상에 흔하게 쓰는 단어, 문장들을
코린이 시선에 맞추어 천천히 꼼꼼히 살펴보아, 매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입니다.
차트를 처음 접하는 입문자에게 '사전'과도 같은 컨텐츠가 되길 바랍니다.
…………………………………………………………………………………………………………………………………
영어 단어를 알아야 영어권의 문화를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코인세상의 단어를 알아야 차트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난 아이디어에서는
#1
거래량에 120이동평균선이라는 '기준'을 넣는 방법을 익힌 후
#2
'기준'이 생긴 거래량에 '의미'를 부여해봤습니다.
거래량을 추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닌 객관적 기준을 넣은 후에 '의미'를 부여하고 판단해야 함을 논하였습니다. 이것이 모두가 보는 차트에서 '거래량' 을 판단하는 '기본' 입니다.
본 아이디어에서는 전 아이디어들에서 다룬 거래량의 개념을 통해 직접 트레이딩 타점을 도출할 수 있는 기법-통계에 의한 Patan_Tiger의 경험을 제시합니다.
(⚠코인 입문자 수준의 트레이딩 타점 잡기로 본 교육글에 기술된 매매기법은 무조건적인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스스로의 백테스팅이 필요합니다.)
✔ 거래량으로 '타점' 잡기
➜ 정확한 저점/고점에서의 진입(타점)
저점이 갱신되는 극저점에서의 타점을 훼손하지 않고 그대로 상승을 준다면 심리적 우위에서
트레이딩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선물 트레이딩에 있어 정확한 극저점에서의 진입은 리스크가 따르지만 그에 대한 충분한 보상도 담보 됩니다.
먼저, 저점을 갱신하는 극저점(롱 진입타점)이 거래량 관점에서 어떤 때에 출현하는지 살펴봅시다.
#3
#4
#5
4h 기준 저점에서 나온 '극저점'(롱 진입) 타점입니다.
세 장의 사진에서 공통점을 찾아 봅시다.
1. '120이평(기준)'을 넘는 거래량을 동반한 ㄱ. 장대음봉이 출현했다.
2. 직전 저점(장대음봉)을 '살짝' 깨는 ㄴ. 음봉이 출현 했다 -> 극저점의 발생(롱타점)
3. 'ㄴ' 음봉의 거래량은 'ㄱ'의 장대음봉의 거래량에 미치지 못 하고 120이평 '기준' 근처나 이하에 형성 됐다.
♨'ㄴ'음봉의 거래량은 'ㄱ'의 장대음봉의 거래량에 미치지 못 하는 상태로 'ㄱ'장대음봉의 저점을
약간 훼손 하는 극저점(롱타점)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 말의 뜻을 이해하면 '거래량'의 특성을 80% 이해한 것 입니다.
코인세상에서 흔히 들어본 말이 있습니다.
"형성된 저점을 깨려면 더 강한 힘이 필요하다."
"의미있는 거래량이 만든 '저점'을 깨려면 더 강한 '거래량'이 필요하다."
⋆⋆⋆⋆즉, 추가로 강한거래량이 출현하지 않아 기존 저점을 약간 훼손하는 '스탑헌팅'(롱 보유자의 스탑로스를 컷)만 발생하고 상방으로 힘이 발산 되는 것입니다.
(매도압력의 해소가 컨펌됨에 따라, 매수요구가 증가)
#6
이처럼 거래량의 객관적 기준 - 의미 삽입 하여 근거 있는 관점으로 매수 타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거래량 지표만 보고 타점을 잡으면 안 되겠지만 차트에 자신의 주관이 아닌 객관적 지표 상황을 이해하고 트레이딩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객관적 기준이 하나하나 쌓이다 보면 뇌동매매는 줄이고. 차가운 이성을 통한 매매로
트레이더 님의 승률이 올라갈 것 입니다.
…………………………………………………………………………………………………………………………………
본 아이디어에서는
거래량에 '기준'을 넣고 '의미를 도출하는 법을 익히고 그 '의미'를 통해 타점을 도출하는
직접 매매에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을 알아봤습니다.
차트는 여러 거래의 양-수-시간의 결과물입니다.
그 결과물은 0.1초 마다 업데이트 되는 '파도'와도 같습니다.
모든 것을 집어삼킬 수 도 있는 '파도'에서 적어도 이 파도가 위험한지 탈 수 있는 놀이인지
자신만의 '기준'과 '의미'를 가지고 트레이딩에 임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거래량 아이디어에서는 거래량을 통한 트레이딩 - 타점잡기(2), 변곡 거래량 찾기 등
'의미있는 거래량'을 직접 트레이딩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추가로 논하도록 하겠습니다.
코인 입문자, 코린이 여러분들이 정확한 개념을 통해 기준을 만들고,
차트를 볼 때 자신만의 의미가 생기길 바라며, 코인세상 톺아보기를 마무리 합니다.
…………………………………………………………………………………………………………………………………
Patan_Tiger는 '누구나 쉽게 배우고, 누구나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피치포크' 를 통해 '쉬운매매'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글을 연재 중입니다.
'코인세상 톺아보기' 컨텐츠를 통해 누구나 쉽게, 코인세상을 시작하는
코인세상의 '백과사전'으로 쓰여질 수 있도록 입문자의 시선에서 연재 합니다.
[교육] 【 코인세상 톺아보기 : 거래량에 '의미' 부여하기 】…………………………………………………………………………………………………………………………………
⚡시작⚡
.
.
☘ 안녕하세요 국내 유일 피치포크 트레이더 Patan_TIGER 입니다.
피치포크(Pitchfork) 및 간 이론(Gann)을 통해 직관적이고 쉽게 매매합니다.
.
.
…………………………………………………………………………………………………………………………………
✔ 코인세상 톺아보기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 - 천천히 꼼꼼히 살펴보다. 라는 뜻의 우리말 단어입니다.
'파탄범의 코인세상 톺아보기에서'는 코인세상에 흔하게 쓰는 단어, 문장들을
코린이 시선에 맞추어 천천히 꼼꼼히 살펴보아, 매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입니다.
차트를 처음 접하는 입문자에게 '사전'과도 같은 컨텐츠가 되길 바랍니다.
…………………………………………………………………………………………………………………………………
영어 단어를 알아야 영자신문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코인세상의 단어를 알아야 차트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 '기준'이 생긴 거래량
지난 아이디어에서는 거래량에 이동평균선(ma)의 적응을 통해
거래량에 객관적인 '기준'을 부여 했습니다.
#1
이동평균이라는 객관적 '수'를 도입해 '기준'과 '근거'를 만들고
#2
'의미'가 생긴 거래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아이디어 거래량에 대한 2번 째 고찰에서는 '기준', '근거'가 생긴 거래량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을 캔들매매 관점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입문자 수준의 컨텐츠로 캔들매매의 어려운 개념은 후속편에 다루겠습니다.)
✔ 거래량에 '의미' 부여하기
➜ 거래량 + 캔들 = '의미'
근거가 생긴 거래량에 + 캔들을 더하면 = '의미' 가 생성 됩니다. 이는 주관적 기준으로 삼을 수 도 있지만, 보편적인 트레이더들이 매매에 사용하는 의미이므로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상승구간의 차트입니다.
장대양봉을 만들던 캔들이 언제 까지 양봉을 뽑아낼 지 모르는 상황
120이평(보라점) 아래에서 놀던 거래량이 갑자기 120이평을 넘는 거래량을 출현 시킵니다.
=120이평을 넘는 '근거'가 생성된 거래량이 생성 됩니다.
고점에서 나온 '근거'가 있는 거래량이 향후 어떻게 작용하는 살펴봅시다.
#4
이처럼 상승구간에서 놀던 캔들이
'의미'가 생긴 거래량 출현 후 하락세로 접어드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즉, 거래량에 120이평 '근거'를 넣은 후 캔들과 합쳐 생각하면 '의미 있는 거래량'의 뜻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대 상황의 예시 하나 더 살펴 봅시다.
#5
하락구간의 차트입니다.
장대음봉을 나타나며 하락구간에 있습니다.
강한 음봉에 120이평을 넘는 거래량이 출현합니다.
=120이평을 넘는 '근거'가 생성된 거래량이 생성 됩니다.
저점에서 나온 '근거'가 있는 거래량이 향후 어떻게 작용하는 살펴봅시다.
#6
그림과 같이하락구간에서 놀던 캔들이
'의미'가 생긴 거래량 출현 후 상승세로 접어드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하락구간에서도 상승구간과 동일하게
거래량에 120이평 '근거'를 넣은 후 캔들과 합쳐 생각하면 '의미 있는 거래량'의 뜻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거래량을 추상적으로 보고 의미를 생각 하는 것이 아닌
거래량에 객관적 수-이평을 넣어 보고 의미를 만들어야 합니다.
코인 입문 시 하는 실수가 단순히 '거래량'을 눈으로만 확인 후
"직전 거래량 보다 크네 /가즈아!/ " 하는 실수를 범합니다. 결과는 -%수익률
…………………………………………………………………………………………………………………………………
거래량에 '기준'을 넣는 방법을 익힌 후 '의미'를 탐색해보았습니다.
'의미'가 생성 된 후 매매에 활용해야 합니다.
본 아이디어에서는 입문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기본적인 거래량 지표를 탐색해보았습니다.
다음 아이디어에서는 거래량을 통한 트레이딩 - 타점잡기, 변곡 거래량 찾기 등
'의미있는 거래량'을 직접 트레이딩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논하도록 하겠습니다.
코인 입문자, 코린이 여러분들이 정확한 개념을 통해 기준을 만들고,
차트를 볼 때 자신만의 의미가 생기길 바라며, 코인세상 톺아보기를 마무리 합니다.
…………………………………………………………………………………………………………………………………
Patan_Tiger는 '누구나 쉽게 배우고, 누구나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피치포크' 를 통해 '쉬운매매'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글을 연재 중입니다.
'코인세상 톺아보기' 컨텐츠를 통해 누구나 쉽게, 코인세상을 시작하는
코인세상의 '백과사전'으로 쓰여질 수 있도록 입문자의 시선에서 연재 합니다.
⚡끝⚡
[교육] 【 코인세상 톺아보기 : '유의미'한 거래량?! 】…………………………………………………………………………………………………………………………………
⚡시작⚡
.
.
☘ 안녕하세요 국내 유일 피치포크 트레이더 Patan_TIGER 입니다.
피치포크(Pitchfork) 및 간 이론(Gann)을 통해 직관적이고 쉽게 매매합니다.
.
.
…………………………………………………………………………………………………………………………………
✔ 코인세상 톺아보기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 - 천천히 꼼꼼히 살펴보다. 라는 뜻의 우리말 단어입니다.
'파탄범의 코인세상 톺아보기에서'는 코인세상에 흔하게 쓰는 단어, 문장들을
코린이 시선에 맞추어 천천히 꼼꼼히 살펴보아, 매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입니다.
차트를 처음 접하는 입문자에게 '사전'과도 같은 컨텐츠가 되길 바랍니다.
…………………………………………………………………………………………………………………………………
✔ 유의미한 거래량
#1
-많은 트레이더들이 '유의미한', '의미 있는' 거래량이 출현 했다. 라고 합니다. 입문자 눈에는 다 똑같이 보이는 거래량에 어떻게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요?
위 사진 처럼 입문 트레이더들은 '유의미한 거래량' 찾기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어려움의 이유는 거래량 분석의 기본 전제를 알 지 못 하기 때문입니다.
거래량을 볼 시에는
1. '유의미'의 기준을 만들고 - ma 설정
2. '의미'를 스스로 부여해야합니다. - 트레이더의 판단
▶ 즉, '유의미' 의 기준을 만들지 않고 '의미'를 찾으려 하기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유의미한 거래량'과 그 기준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거래량 지표를 설정 후
'거래량'에 대한 이해 부터 시작합니다.
➜ '거래량(Volume) 지표 설정'
#2
트레이딩뷰는 친절하게 '거래량'지표를 기본 사용자에게도 제공합니다.
그림의 순서에 따라
1. 차트 상단에서 지표 클릭
2. 거래량(Volume) 검색 후 클릭
3. 거래량 지표 - 차트 하단에 나온 음과 양의 막대를 확인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조작중 ('delete' 키를 누르면 삭제 되므로 Ctrl + Z 눌러 다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뷰 차트는 Hwp파일과 같이 Ctrl + Z시 되돌리기가 되니 꼭 알아두세요)
☺ '거래량(Volume) 지표에 대한 입문자 이해
- 설정한 시간값(1m ~ 1w등) 에 해당하는 캔들의 총 거래량
(설정한 캔들시간에 발생한 거래의 총량 즉, 매수+매도의 총합)
- 음봉캔들에는 음의 거래량 막대기가, 양봉캔들에는 양의 거래량 막대기가 생성
- 캔들의 모양에 신뢰도를 입히는 지표
ex) 장대양봉캔들에 장대거래량 = 신뢰도 상승
- 캔들의 완성에 따라 완성되는 '후행성 지표'
➜'유의미한' 거래량
캔들이 10개 생성 되면 거래량 지표도 10개가 생성 됩니다. 그럼 이 10가지 거래량 지표 중 '의미 있는' 거래량은 무엇일까요?
#3
많은 입문 트레이더들이 거래량을 보고 '크다', '연속된다', '장대다' 하며, 눈으로만 확인 합니다.
하지만 차트는 '연속된 수'의 집합체가 그림으로 표현 된 것입니다.
거래량은 '설정된 시간의 캔들에 형성된 매도+매수의 = 총합(수) 이라 정의 하였습니다.'
추상적 그림-크다, 작다, 연속되다를 눈으로 확인하는 게 아닌 정확한 '수'로 파악해야합니다.
모두가 보는 차트에 자신의 주관으로 하는 추상적 판단이아닌
객관적인 '수'로 파악하여 객관적인 '의미' 기준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금부터는 거래량에 '수'를 넣어 '의미'의 기준을 만들어 봅시다.
#4
1. 볼륨 지표를 더플 클릭
2. '인풋' 에서 이평길이를 120으로 설정
(시장의 추세, 차트마다 상이하지만 보편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값인 '120'기준으로 설명합니다.)
#5
이평길이 설정 후 볼륨막대기 위에 생성된 이평길이를 확인해 봅시다.
이평길이선(보라점선)을 넘는 거래량 막대기는 '의미'있는 거래량이라는 '기준'이 설정 됩니다.
'120이평을 넘는다.'라는 객관적 '수'가 들어간 의미 있는 거래량을 볼 수 있습니다.
눈으로만 확인할 때와 확연히 다른 결과가 나오며,
'수', '객관'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기준'이 생겼습니다.
"내 차트에서 120이평을 넘으면 '의미 있는' 거래량이야." 라고 말할 수 있는 '기준'이 생성 됩니다.
이제 트레이더님의 '기준'을 만들었으니 캔들-거래량을 대조 해보며 '의미'를 만들어야 합니다.
트레이딩 하며, 자료와 경험에 의해 자신의 '의미'를 만들어아야 합니다.
(분량이 길어지는 관계로 '의미'인 캔들-거래량의 관계는 다음 아이디어에 설명합니다.)
…………………………………………………………………………………………………………………………………
거래량을 눈으로만 보면 '기준'이 없으니 '의미'를 상정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의미있는 거래량'의 뜻을 이해하지 못 하고 거래량에 잘 못 된 의미를 부여해 트레이딩을 망치는 우를 범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영어 단어를 알아야 영자신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코인세상의 '단어'를 알아야 차트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코인 입문자, 코린이 여러분들이 정확한 개념을 통해 기준을 만들고,
차트를 볼 때 자신만의 의미가 생기길 바라며, 코인세상 톺아보기를 마무리 합니다.
…………………………………………………………………………………………………………………………………
Patan_Tiger는 '누구나 쉽게 배우고, 누구나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피치포크' 를 통해 '쉬운매매'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글을 연재 중입니다.
'코인세상 톺아보기' 컨텐츠를 통해 누구나 쉽게, 코인세상을 시작하는
코인세상의 '백과사전'으로 쓰여질 수 있도록 입문자의 시선에서 연재 합니다.
⚡끝⚡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를 시작하면서부터 우리는 정신적인 소모전이 시작됩니다.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여러 경우의 수, 즉, 거래 전략을 만들었음에도 매수를 시작한 다음부터 가격의 변동에 의한 정신적인 소모전은 시작됩니다.
이러한 정신적인 소모전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연적으로 필요합니다.
따라서, 한번의 거래로 매수를 마무리하는 것은 정신적인 소모전에서 쉽게 패배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선물 거래에서 단적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정식적인 소모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돌파 매매를 가능하면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제의 차트를 보면, 몇 개의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두었습니다.
이러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를 진행해도 대부분 늦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변동을 보이면 기본적인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바로 거래를 진행하면서 정신적인 소모전이 시작되어 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신의 욕심에 의한 불안감에서 비록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갈등적인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연습이 필요하게 되는 겁니다.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리는 여러 방식을 활용하게 됩니다.
어떠한 방식을 활용하든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에게 맞는 방식이 최고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기본적인 지지와 저항 여부는 1D 차트에서 최소 1일-3일 정도 확인하면 어느 정도 윤곽이 나타납니다.
이 기간을 지나면서 추세를 나타나게 되면 단기적으로 급격한 움직임을 보이는 코인(토큰)에 해당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약 7일-10일 정도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코인 시장은 24시간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소 1일-3일 동안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고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빠른 거래를 진행하게 되어 정식적인 소모전를 겪게 됩니다.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특별한 것이 없습니다.
얼마나 많은 거래를 하였으냐에 따라 본인에게 노하우가 생기는 것일 뿐 입니다.
또한, 지지와 저항 여부가 자신이 생각한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게 되었을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가 미리 생각되어져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트레이딩을 도박이라 얘기하는 이유가 이러한 방법을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상승과 하락 중 50% 확률 게임이라 말하는 사람들이 있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차트에 대한 공부와 많은 거래를 통해 습득되어지는 거래 전략으로 가격의 변동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만들게 되면서 이러한 생각은 점차 사라지게 될 것 입니다.
본인의 의지대로 많은 거래를 함으로서 얻게 되는 노하우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드리고 있느냐, 또한, 자신의 실수를 고쳐가고 있느냐가 결국 거래의 승패를 결정짓게 될 것 입니다.
-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만들 수 있느냐,
- 비록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이 잘못 선정되었다 하더라도 그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믿고 대응 방안을 찾아 낼 수 있느냐,
위의 내용을 만족시키기 위한 차트 공부가 이루어져야 겠습니다.
차트에 대한 용어, 패턴, 추세은 거래를 진행하는데 있어 거래 전략을 수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할 뿐 입니다.
결국 모든 것은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의 지지와 저항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시작되어진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분할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예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 투자기간
- 투자규모
-거래방식(trading method) 및 수익실현방식
위의 조건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거래를 진행하면서 거래전략 중 거래방식(trading method) 및 수익실현방식에 따라 가격의 변동에 따라 대응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보통 분할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장기 보유는 장기 보유에 따른 기간 손실을 보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장기 보유에 따른 수익은 결국 실제 수익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장기 보유하는 동안 다른 코인(토큰)을 거래함으로서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므로 기대 수익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가격의 급격한 변동성이 발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장기 보유에 따르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BTC를 29K 이하에서 매수하였다면, 현재 가격 움직임은 큰 부담감을 느끼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BTC의 가격 변동에 따른 알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을 보면,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현재의 수익을 지켜야 한다는 심리적인 압박감을 느끼게 되므로 분할 거래를 진행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이 시작된 11월 2일경부터 현재까지의 BTC 가격 변동성에 따른 알트코인의 움직임을 보면 마치 한번 크게 하락할 것만 것은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만일 BTC 29K 이하에서 평균 매수 단가가 형성되어 있으나, 차트 분석에 따른 거래 전략을 아직 만드는데 익숙하지 않다면, -10% ~ +10% 이상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 분할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 +10% 이상 변동성이 발생하였을 때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1D 차트의 한개의 캔들의 변동성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서, 최근 10월 23일에 분할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10% ~ +10%의 변동성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확신하기 위해서는 그날의 캔들이 마감(close)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그날의 캔들이 마감(close)되기 바로 전에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10월 23일 이후에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분할 매도하였다면, 현재 후회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분할 매도하여 얻게된 현금으로 새롭게 기회를 잡을 수도 있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앞으로 -10% 이상 하락하였을 때, 추가 매수할 수 있습니다.
가격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이 더 높게 상승하여서 -10% 이상 하락하더라도 분할 매도한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서 매수하게 된다면 이는 결국 손해를 보게 된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거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큰 수익을 얻는 것이지만, 그보다 자신의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수익실현방식입니다.
기존의 주식 시장 거래 방식으로는 할 수 없는 방식을 코인 시장에서는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코인(토큰)을 소수점 단위로 거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수 단가별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분할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장기 보유에 따른 분할 거래는 수익금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리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분할 매도시 매수 단가에 해당되는 매수 원금(+거래수수료 x 2 포함)만큼 매도함으로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겨두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평균 단가는 별 의미가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거래를 지속하게 되면, 매수 원금은 모두 회수하게 되고 결국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만 남겨됩니다.
따라서, 매수 원금을 모두 회수한 상태가 되면, 남아 있는 코인(토큰)의 평균 매수 단가는 0이 됩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다시 거래를 진행한다하더라도 평균 매수 단가가 매수한 가격보다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매수에 따르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킬 있게 됩니다.
이러한 거래에 대한 효과는 장기적인 관점에 투자를 진행할 때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추가 매수를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방식, 즉, -10% ~ +10% 이상 변동성를 보일 때 분할 거래하는 방식은 차트 분석이나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익숙하지 않는 분들이 사용하면 좋은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판단할 수 있는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소 1일~3일 정도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하므로 지루하고 힘든 작업에 해당됩니다.)
1. 1D 차트의 5EMA를 기준으로 분할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1D 차트의 5EMA는 예전부터 급등선이라고 불려왔습니다.
따라서, 돌파 매매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5EMA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이 급등하여 5EMA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다시 5EMA선을 터치하고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분할 매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1번의 구간에서 분할 매수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서, 매수시 매수 비중을 얼마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됩니다.
5EMA 부근에서 매수할 때는 현재 보유 금액의 3분의 1 ~ 4분의 1 정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유 코인(토큰) 개수 비율로 매수하게 되면, 평균 매수 단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므로 현재 보유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그 이상 매수하게 되면, 보여지는 평균 매수 단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1D 차트의 MS-Signal 지표(비슷한 움직임을 보이는 26EMA)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분할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추가 매수할 구간은 MS-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가능합니다.
이때는 보유 금액의 50% ~ 100% 로 매수가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3. HA-Low,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분할 거래가 가능합니다.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게 되면, 기본적으로 HA-High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가 매수하는 시기에 적합합니다.
다만,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게 되면, 이전 최신 고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또한, 추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하지마, HA-High 지표에서 하락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HA-Low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HA-Low 지표에서 하락하게 되면, 이전 최신 저점을 갱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또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다만,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바닥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격의 전체적인 위치에 따라 더 좋은 기회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
차트 분석보다 이러한 사소한(?) 거래 전략에 대해서 고민하고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만들어가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러한 거래 전략은 반드시 차트 분석을 잘해야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러한 사소한(?) 부분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차트 분석에 사용되는 시간보다 거래 전략을 만드는 시간을 더 늘려야 합니다.
거래 전략은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큰 그림에서의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큰 그림에서의 거래 전략 범위 내에서 세밀한 거래 전략을 만들어 거래를 진행하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면서 거래를 진행해야 거래에 실패하더라도 다음 거래를 진행하는데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됩니다.
차트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노하우를 갖는 것 입니다.
그 이상으로 차트 분석을 한다는 것은 거래가 목적이 아니라 분석가가 되겠다는 것이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려운 차트 분석 기법을 공부하기 보다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에 더 많은 시간이 투자가 필요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거래량 표시는 10EMA를 기준으로 캔들 바디(body)로 표시됩니다.
표시 방법 (가장 진하게 표시된 순서)
10EMA 거래량의 3배 이상 > 2.5배 > 2.0배 > 1.25배 > 10EMA 이하 거래량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투자의 심리 , 하락장에서 살아남는 방법시장이 하락장일 때 어떤 투자방법을 사용하고 계십니까? 하락장에서의 투자방법이지만 꼭 하락장에서만 쓰이는것 보다는 투자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분산투자입니다.
투자의 가장 중요한 것은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 라고 얘기할 정도로 우리는 위험을 감수면서 수익을 올려야 합니다.
우선 리스크 관리를 하기위해서는 한분야나 한 종목에 일명 몰빵을 하는것은 잘해서 수익이 발생한다면 많은 돈을 벌 수 있겠지만 반대로 손실이 발생한다면 다시 일어설 수 없을 정도의 타격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초보자들이 실수하는 것 중에, 투자를 할 때 이익만을 생각하고 실패할때 손실은 생각하지 않고 몰빵 투자를 했다가 실패해서 소주병 나발불고 한강 다리 앞에 서는 것입니다. 만약 리스크를 생각해서 관리를 했다면 절대 한 종목에 투자를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분산투자를 할 때 종목선정을 어떤식으로 하는것이 좋은가 하면, 단기적으로 투자 할 것인지와 장기적을 할 것인지 나누고, 단기적으로 업종별로 3~5 종목, 장기적으로 3~5 종목을 분산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실수 하는것 중에 종목을 분리한다고 20~30 가지를 선정하는데 문제는 그 업종들이 모두 같은 업종이거나 2~3개 빼고 다 같은 업종이라는 것입니다. 분산투자를 하려면 업종도 나눠야 하는 것입니다.
분산투자는 최대한 많이 여러 종목에 돈을 넣어서 불리는 것이 아니라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큰 그림으로 봤을때 주식이라는 것은 재테크의 한가지 방법일 뿐입니다. 매 경제의 상승과 하락시에는 상황에 맞는 투자방법이 있습니다.
주식, 예 적금, 펀드, 보험, 채권, 금, 원자재 등등 자신의 자산을 나누고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분산투자인 것입니다.
한 바구니에 너무 많은 계란을 담으면 밑에있는 계란이 터졌는지 금이 갔는지 알 수 없어서 분산투자를 하는것입니다.
그런데 너무 많은 바구니에 계란을 담으면 모든 바구니에 있는 계란들을 관리하는것은 불가능 합니다. 자신이 확실히 분석할 수 있고 관리할 수있는 종목수를 설정해서 분산투자 하는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이 되겠습니다.
투자를 할 때의 마음가짐은 누구보다 단호히, 확실히, 절대 뇌동매매따위는 하지 않을 것 같지만 몇가지 상황이 오면 쉽게 오류를 범하는데 몇가지 이야기 해드리겠습니다.
우선 남을 따라서 주식을 사는 사람이 있는데 남을 따라서 매매한 주식은 무조건 손해를 본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가가 급등을 했는데 욕심이 생겨버리면 그때부터는 하락하는 주가를 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매매는 항상 기계적으로 한다고 생각하십시오.
주가가 급락에 급락을 했을 때 심리적으로 두렵다면 바닥까지 내려온 것이라 보면 됩니다. 만약 손해를 본 상태라면 원금을 생각하지 마십시오 원금 생각하다가 패가망신하는 사람 많이 보았습니다.
원금 회복을 하지 못한다는 말이 아니라 원금에 집착해서 매매에 반영이 되어버리면 안된다는 말입니다. 처음 종목을 매매할 때 마음가짐을 유지하고 흔들리지 마시고 주가가 내려가거나 올라가거나 주가의 움직임에 끌려다니는 매매는 금물입니다.
투자자금을 관리할 때는 주식투자로 돈을 벌었다면 번 돈은 무조건 현금화 시키십시오 내손에 돈이 쥐어지지 않는다면 그 돈은 없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급하게 투자원금을 늘리려고 하지마십시오. 앞 글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투자 원금이 적을 때 손절매 하는 연습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충분히 익숙해지고 무덤덤해지면 큰돈으로 했을 때 멘탈을 잡을 수 있습니다. 시장이 좋을 때와 나쁠 때의 현금과 주식의 보유 비율을 달리 하여야 합니다.
또한 주식을 시작하고 실전 매매를 하면서 간단하고 쉬운 편법들로 대박을 노리는 사람들이 있을까? 현실은 아주 많다 입니다.
이건 시장을 너무 만만하게 보고 주식을 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이 손실을 봅니다. 아니 대부분이라는 말보다는 90% 이상의 개인들이 손해를 본다는 말이 맞을 것입니다.
이렇게 승률이 저조하고 무서운 주식시장에서 막무가네 매매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빠른 시일안에 생각을 고쳐먹고 제대로 공부하고 배우면서 이기는 매매를 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식시장은 정답이나 비법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바뀌고 저번에는 이런 분석이 통했다면 이번에는 엉뚱한 분석이 통하는 경우도 있는데, 책을 보면서 공부만 한다고 누구나 빨리 배우고 수익이 나는 것이 아니라 공부도 하면서 실전으로 배우고 깨우쳐야 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무조건 세력과 개인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개인이 손해를 볼 확률은 90%가 훨씬 넘어갑니다. 그냥 세력을 따라다니면 됩니다.
그렇다면 승률이 90%까지 올라간다 얘기할 수 있습니다. 이 전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거래량과 호재, 차트등을 보면서 세력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세력의 평단가 비슷하게 매수할 수 있는 능력만 키운다면 무조건 주식으로 성공할 수 있습니다.
차트공부, 기술적분석, 기본적분석, 거래량, 등등 책이나 교육으로 배울 수 있는 기법을 세력들이 역이용해서 개인의 돈을 빼앗아 가기 때문에 분산투자와 분할매수, 무조건 적인 손절매를 원칙으로 접근하여야 합니다.
주식은 10번 이기고 1번 졌는데 깡통 계좌가 될 수 있는 만큼 리스크 관리에 철저하여야 합니다.
추세를 너무 좋아하거나 따라다니면 안됩니다.
추세는 신기루와 같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전체 차트에서 추세라고 얘기할 수 있는 차트는 10~20% 정도이기 때문에 상승추세라고 안심하지말고 매순간 체크하고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식 10년한 자칭 전문가, 카더라 통신, 잡 지식만 많은 허당을 조심하여야 합니다. 그런사람들 중에 돈 번 사람 몇명 없을 것입니다.
있다고 하더라도 우연히 분석했는데 얻어걸려서 수익을 낸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을 자기자신만 믿을 수 있습니다.
[알트] 4시간봉 EMA 200을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알트코인들을 매수해보자.안녕하세요 ... ^^ 할머니의 하모닉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알트코인으로 대박을 터트려 일확천금의 기회를 얻고 싶어 할 겁니다.
그러나 빠르게 오르내리는 알트코인에 많은 돈을 투자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죠.
어찌 괜찮은 타점을 잡아서 +로 시작하더라도 갑자기 아래로 쿵쿵 꽂히는 캔들에 간담이 서늘했던 적 있을 겁니다.
급등코인에 눈이 돌아가 탑승했다가 많은 돈을 잃고 충격에 빠져본 적도 다들 있으실 거구요.
그렇다면 보다 안전한 투자를 위해 어떤 알트를 사야할까요?
오늘은 이평선, 그 중에서도 EMA를 활용한 알트코인 투자법에 대해 얘기해보자 합니다.
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
비트코인 4시간봉 차트에 EMA 200을 적용한 모습입니다.
EMA 200을 기준으로 지지와 저항이 나타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평선이 완만해진 이후 깨진 이평 주변에서 지지/저항이 나타날 경우 추세가 크게 바뀔 확률이 큽니다.
이는 이전의 차트에 대입하면 더욱 확실하게 나타납니다.
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렇다면 알트코인에도 대입이 가능할까요?
OF COURSE. 충분히 활용 가능합니다.
최근에 핫했던 체인링크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한 마디로 정리하면,
'4시간봉 EMA 200은 변곡점일 확률이 높다' 입니다.
추세확인과 지지와 저항 역할에 더불어 추세가속화, 추세전환의 기준점이 되는 이평선입니다.
160퍼센트의 떡상을 이끌어낸 폴리매쉬 차트에서도
EMA 200의 지지/저항을 확인할 수 있고
지지 이후 거래량이 터지며 떡상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정말 간단한 내용이지요?
하지만 이 간단한 내용으로도 추세를 확인할 수 있고 미리 떡상할 코인을 알아낼 수도 있습니다.
지금 당장 4시간봉에서 EMA200을 키고 차트를 한 번 쭉 보세요.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모두 ... 성투 ^^
[비트코인] '선행 지지/저항 지표'로 분석**적용된 지표는 실시간으로 선행하여 시그널이 발생합니다. (나중에 뜨는 신호 아님⭐)
**글을 쓰는 시간 때문에 시그널 시 바로 올리지 못하지만, 차트에 "지표를 직접 적용"하시면 시그널 시 알림도 받을 수 있습니다.
**팔로우하시면, 지난 아이디어들의 수익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약 80~90% 승률)
선행 지지/저항 지표는 비트코인의 저점 매수 타점도 정확히 잡아내었습니다.
추세선(검은선) 위에 있어 상승추세, 지지선(파란선 시작점)에서 단기 저점 판단.
** 이 지표는 다 지나고 나중에 그려지는 리페인팅 지표가 아닙니다. 타점에 실시간으로 선이 생기며, 알림 설정을 해두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표의 장점---
아시다시피,
추세를 따르는 것 vs 저점/고점을 잡는 것
두 가지는 매우 모순된 것입니다.
하지만 지표와 같이,
추세를 확인하면서, 단기 저점/고점을 공략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1) 주가가 추세선 위(상승추세)에 있으면, 지지선(좀 더 안전한 트레이딩을 하려면 'BUY' 텍스트가 붙은 지지선)에 롱(매수) 진입
2) 주가가 추세선 아래(하락추세)에 있으면, 저항선(좀 더 안전한 트레이딩을 하려면 'SHORT' 텍스트가 붙은 지지선)에 숏(SHORT) 진입
---
주식, 코인, 해외주식 등 모든 차트 트레이딩 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팔로우하시면, 지난 아이디어들의 수익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약 80~90% 승률)
거래량을 통해 세력 구분법 및 손절의 중요성안녕하세요 주식이나 코인매매를 하면서 기술적분석, 기본적분석, 보조지표, 등등 분석할 것들이 많이 있지만 오늘은 거래량에 따른 세력의 매집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주식이나 암호화폐 시장에는 보조지표만큼 거래량도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일반 개인들은 주가를 올릴수가 없습니다. 간혹 슈퍼개미가 주가를 올리고 추종자들이 같이 매수를 하는정도?
사실 이것도 동호회라고 하는게 맞을 것입니다. 이처럼 주가는 개인이 올리는것이 아니라 세력이 올리는 것입니다. 이 세력들이 매수하면 매수하고 매도하려는 조짐이 보이면 매도를 하는 것 만으로도 어마어마한 승률을 내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세력이 들어오는건 어떻게 알 수 있느냐는 거래량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세력이 주가를 올리기 위해서는 대량으로 주식을 매수하여야 하는데 그런 행위를 매집이라 합니다. 보통 짧으면 몇달에서 길면 몇년에 걸쳐서 매집을 하는데 두가지 경우에서 어쩔수 없이 거래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잘 잡아내는 눈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세력이 매집을 할 때는 보편적으로 주가를 횡보시키면서 매집을 합니다. 오랜기간 횡보를 시키면서 매집한 종목은 시세를 크게 주는데 반대로 짧게 횡보를 한 종목은 당연히 시세를 적게 줍니다.
여기서 웃긴건 세력들은 자기들의 평단가 밑으로 주가가 내려오면 바로 주가를 올리는데 세력들의 평단가만 계산할 수 있다면 주식이 제일 쉬웠어요란 이야기를 하고 다니셔도 됩니다.
이처럼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가는 시기가 있는데 그때는 빠르게 분석해서 눈여겨 보아야 할 것입니다.
사실 주식을 하면서 아무것도 모르고 투자할 때는 계좌가 반토막이 나는게 순간이지만 공부하다보면 점점 자신감이 붙으실 것입니다. 아는것도 많아져서 주식 투자를 해보면 정말 신기하게도 주식이 더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조지표를 보면 매도하라고 나와서 매도를 하면 급등을 하고, 매수하라는 사인이 나왔는데 정작 다음날이 되어버리면 폭락을 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보조지표만 공부하고 투자를 하면 당연히 실패를 경험할 수 있는데 주식은 전체적으로 분석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보조지표와 거래량을 같이 분석한다면 그 차이는 하늘과 땅차이 라는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주가가 오르거나 내릴때 거래량이 폭발하면 오늘 거래가 많이 되는구나 이렇게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데 세력이 어느쪽으로 방향을 잡을 것인지 가르쳐주는 신호를 무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매를 하다보면 어쩔수 없이 손해를 보는 종목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 때 하락하는 종목의 대처법으로는 주가가 다시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것과 손해를 감수하고 매도를 하는 것, 그리고 물타기를 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나쁜 방법이 물타기 입니다. 물론 모든 물타기가 잘못되었다는건 아닙니다. 이것 또 한 하나의 매매 방법이 되겠죠 하지만 예를들어서 하락 후 단기 반등을 노리고 밑에서 매수하는 것인데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최소 보통 기존의 물량에 3배는 매수해야하고, 주가가 반등하지 않고 하락해 버리면 손실이 엄청나게 불어나서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중 주가하락시 가장 좋은 방법은 손절매를 하는 것입니다. 주식에서 수익을 내는것보다 더욱 중요한 것이 손절매인데 팔지 않으려면 사지도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원금에 대한 집착은 투자자의 가장 심각한 문제라서 손절을 하는것에 부담을 느낍니다.
하락한 주식이 시간이 지나면 다시 매수단가로 복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은 한번해서 끝나는 게임이 아니라 연속으로 거래가 이루어져야하는 게임 입니다. 질것 같으면 피할수 있는 싸움에 죽어라고 버틸 필요 없이 빠르게 다른종목으로 승부봐서 수익을 내면 되는 것입니다.
손절매를 할때는 과감하게 하여야 합니다. 처음 주식을 매수할 때 부터 손절 금액을 설정해 놓는것이 좋습니다. 막상 주가가 내려가면 그때는 이미 늦기 때문인데, 심리적으로 손절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3%의 손해만 볼 수 있는데 손절을 하지못해 시간이 지나서 매도하면 -10%이상의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주식에서 승률이 낮아도 손절매만 확실히 지킨다면 한번의 수익으로도 충분히 손해본 금액을 만회하고도 남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수익이 발생하고 있을 때는 최대한의 수익이 날 수있게 가만히 지켜보는 용기도 필요합니다.
손절매를 하는 최대의 이유는 추세 때문인데 주식이 한번 방향을 잡으면 그게 위쪽이 될지 아래쪽이 될지 몰라도 그 쪽을 따라가기 때문입니다.
오를때는 하늘 높은줄 모르고 끝없이 올라가고 내려갈때는 해저탐험 하듯이 내려가는데 이정도면 멈추고 다시 오를것이란 기대가 무색하게 끝을 모르고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추세가 붕괴되는 주식은 투매가 나오는데 투매에 투매로 맞서서 일말의 망설임도 필요없이 버리면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손절매는 트레이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합니다. 10번을 이기다가 한번의 실수로 모든것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손절금액을 설정해 놓고 주식투자를 하는 버릇을 들여야하겠습니다.
[오브스] '선행 지지/저항 지표'로 분석**적용된 지표는 실시간으로 선행하여 시그널이 발생합니다. (나중에 뜨는 신호 아님⭐)
**글을 쓰는 시간 때문에 시그널 시 바로 올리지 못하지만, 차트에 "지표를 직접 적용"하시면 시그널 시 알림도 받을 수 있습니다.
**팔로우하시면, 지난 아이디어들의 수익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약 80~90% 승률)
선행 지지/저항 지표는 오브스의 저점 매수 타점도 정확히 잡아내었습니다.
지지선(파란선 시작점)/저항선(빨간선 시작점) 도 정확하다는 것, 스스로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지표의 장점---
아시다시피,
추세를 따르는 것 vs 저점/고점을 잡는 것
두 가지는 매우 모순된 것입니다.
하지만 지표와 같이,
추세를 확인하면서, 단기 저점/고점을 공략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1) 주가가 추세선 위(상승추세)에 있으면, 지지선(좀 더 안전한 트레이딩을 하려면 'BUY' 텍스트가 붙은 지지선)에 롱(매수) 진입
2) 주가가 추세선 아래(하락추세)에 있으면, 저항선(좀 더 안전한 트레이딩을 하려면 'SHORT' 텍스트가 붙은 지지선)에 숏(SHORT) 진입
---
주식, 코인, 해외주식 등 모든 차트 트레이딩 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팔로우하시면, 지난 아이디어들의 수익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약 80~90% 승률)
[교육] 이모지에서 발견한 피보나치 수열 (2023.09.28.토)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의 차티스트 입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이모지에도 피보나치 비율이 숨어 있습니다.
얼굴 전체를 기준으로 피보나치를 측정했을 때
볼은 0.382 / 눈은 0.5 / 눈썹은 0.618 비율 입니다.
또한, A와 B의 높이는 같습니다. (0.382)
이처럼 우리가 흔히 쓰는 이모지에도 피보나치 비율이 숨어져 있고
기술적 분석에서 피보나치 비율의 중요성 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 귀여운 포스팅이 도움 되셨다면 좋아요 댓글 부탁드릴게요🤭
추석 잘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참고
①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 수열은 1, 1, 2, 3, 5, 8, 13, 21, 34, 55, 89… 같이 선행하는 두 숫자의 합이 다음 숫자가 되는 수열이다.
n항과 n+1항의 비율은 1 : 1.618 이다.
② 엘리어트파동
엘리엇은 주가파동을 관찰, 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고 있음을 발견하여 엘리엇 파동이론을 정립하였다.
피보나치 수열에서 찾을 수 있는 법칙은 다음과 같다.
1. 두 개의 연속된 숫자의 합은 그 다음 숫자와 같다.
2. 0.618을 황금비율이라고 한다. 예) 21/34=0.618, 89/144=0.618
3. 한 숫자를 하나 건너뛰고 그 다음의 숫자로 나누면 0.382이 된다. 예) 21/55 = 0.382
4. 0.618의 역수는 1.618 이고, 0.328의 역수는 2.618 이다.
5. 엘리엇 파동의 5-3-5-3-5의 충격파동(21)과 5-3-5의 조정파동(13사이클)을 더하면 34가 된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교육] 추세선/채널이론의 정석🔋🔋🔋🔋🔋🔋🔋🔋🔋🔋🔋🔋🔋🔋🔋🔋🔋🔋🔋🔋🔋🔋🔋🔋🔋🔋🔋🔋🔋🔋🔋🔋🔋🔋🔋🔋🔋
🥇 안녕하세요 김재생입니다
=================================
📌 결론 선요약
- 추세선 = 채널은 같은 개념을 지닌다고 보아도 좋다 (지지/저항과는 다른 개념)
- 추세선과 채널은 세가지 특징이 있다
1. 오래 된 추세선과 채널일 수록 강하다
2. 돌파 시도를 할 수록 약해진다 (추세선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적 호가)
3. 추세선이 뚫리면 "S/R Flip"이 발생하고, 채널이 뚫리면 "채널의 확장"이 발생한다
*(S/R Flip : 지지(Support)는 뚫리면 저항(Resist)이되고, 저항은 뚫리면 지지가 된다)
📌 추세선의 정석
- 추세선은 차트의 추세가 바뀐 뒤에 발생한다
- 두 개의 (저점 혹은 고점)이 발생한 뒤에야 추세선을 작도할 수 있다
- 반대점이 명확하지 않다면 추세선을 긋지 않는게 좋다
- 추세선이 돌파 되었다면 "S/R Flip"이 발생해 지지는 저항으로, 저항은 지지로 바뀐다
- 추세선은 차트가 수렴과 발산의 연속임을 확인시켜주는 중요한 이론이다
📌 채널의 정석
- 채널 또한 차트의 추세가 바뀐 뒤에 발생한다
- (*아래 예시)트레이딩뷰의 기본 그리기 도구인 패러렐 채널을 클릭하여 저점 두개와 그 사이의 고점(반대점) 한개를 찍어 채널을 그린다
- 채널이 돌파 되었다면 "S/R Flip"과 동시에 "채널의 확장"이 발생한다
- 채널은 이론상 무한히 확장 가능하나, 재생식 매매의 특성상 1회로 제한하여 확장하여 사용한다
📌 채널작도의 예시
- 추세의 전환이 일어났다면 (저점을 올리는 쌍바닥 or 고점을 내리는 쌍천장) 그 부분들을 이어 채널을 작도할 수 있다
- 사진의 "트레이딩 뷰 기본 그리기 도구인 패러렐 채널"을 이용하여 작도한다
- 위 사진의 1,2,3번을 순서대로 클릭하면 되며, 컨트롤을 누른 채 클릭하면 보다 정확한 작도가 가능하다
- 채널을 작도했다면 채널은 각각 상단/중단/하단의 지지와 저항을 가진다
- 체감상 (추세선과 동일한)하단선이 5, 상단선이 3, 중단선이 2 정도 되는 강도를 가진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개인적인 생각이니 무시하고 넘어가도 좋다
- 위 사진의 1번 항목과 같이 채널상단에 부딛힐 때 다른 근거가 있다면 숏 포지션을 오픈하는 관점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위 사진처럼 채널이 돌파되었다면 "S/R Flip"이 일어남과 동시에 Ctrl+C -> Ctrl+V 를 눌러 똑같은 크기의 채널을 "채널의 확장"하여 그려넣는다
- 확장된 채널 또한 기존 채널과 같이 상단/중단/하단의 지지 저항을 갖는다
- 위 사진의 1번과 같이 "확장된 채널"의 상단 저항(Resist)를 맞고 내려온 모습
- 처음으로 확장된 채널의 맨 끝 부분선의 지지/저항은 첫 도전시에 강한 모습을 보인다
- 위 사진과 같이 상단의 저항을 맞고 내려온다면, 각각 아래쪽에 존재하는 모든 상단/중단/하단 선들은 지지(Support)로 작동한다.
다른 관점이나 근거가 겹친다면 적극적으로 포지션 진입을 권장한다
- 위 사진의 맨 아래쪽 파란색의 채널하단선은 "추세선"과 같은 선이므로 가장 큰 지지를 가진다
- "추세선"과 개념이 같은 맨 아래 파란선(채널 하단선)은 위 사진과 같이 강한 지지로 작동한다
- 해당 채널 하단에 도전 할 때 마다 포지션 진입이 가능하지만, 지지/저항/추세/채널은 모두 저런식으로 계속해서 도전할 때 마다 지지/저항이 기하급수적으로 약해진다
- 이유는 추세와 채널은 시장참여자들이 심리적인 호가로 유지되는 추세선들이기 때문에 시장참여자들의 존재가 옅어질 때 마다 추세선 또한 같이 약해진다
📌 지지/저항/추세/채널의 작도를 할 수 있다 = 돈을 벌 수 있다는 아니다
- 차트는 관점의 중첩이기 때문에 지지/저항/추세/채널 모두 내 관점해 더 해 사용할 수 있다
- 이러한 트레이딩 스킬들을 사용할 때, 동작 원리를 이해해야지만 올바른 사용이 가능하다
📌 결론 선요약
- 추세선 = 채널은 같은 개념을 지닌다고 보아도 좋다 (지지/저항과는 다른 개념)
- 추세선과 채널은 세가지 특징이 있다
1. 오래 된 추세선과 채널일 수록 강하다
2. 돌파 시도를 할 수록 약해진다 (추세선은 시장참여자들의 심리적 호가)
3. 추세선이 뚫리면 "S/R Flip"이 발생하고, 채널이 뚫리면 "채널의 확장"이 발생한다
*(S/R Flip : 지지(Support)는 뚫리면 저항(Resist)이되고, 저항은 뚫리면 지지가 된다)
MACD를 이해하고 사용해보자안녕하세요,
하모닉 뿌수는 남자 하남자 (a.k.a 청바지) 입니다.
오늘은 차트 분석이 아닌 보조지표인 MACD에 대해서 한번 전달하고자 합니다.
뭐 어렵게 꼬아서 설명안하고 바로 얘기 하겠습니다.
바이낸스 비트코인 현물차트 4시간봉이고 아래에 있는 지표가 MACD 입니다.
일단 가장 기본적인 MACD 선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시그널선과 히스토그램을 가려두고 MACD선과 0선만 남겨 뒀습니다.
이것이 무엇을 뜻하느냐?
MACD선은 12EMA에서 26EMA 값을 뺀 값으로 당연히 단기 이평인 12EMA가 26EMA보다 위에 위치 해있으면 양의 값을 갖게 되며 여러분들이 흔히들 아시는 단기 이평이 장기 이평보다 위에 위치해 있는 정배열의 상태가 됩니다.
반대로 12EMA가 26EMA보다 아래에 있으면 당연히 음수를 갖게 되고 당연히 차트에서는 이 두개의 이평선은 데드크로스로 나타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차트와 함께 설명 드리겠습니다.
차트에 표시된 흰선이 12EMA 선이고 노란선이 26EMA 선입니다.
보시다시피 초록색 동그라미친 골든크로스 지점에서 MACD선이 0선을 상향돌파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빨간색 동그라미친 데드크로스 지점에서 MACD선이 0선을 하향돌파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MACD 선을 통해서 우리는 현재의 추세가 정배열인지 역배열인지 파악하며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파악이 가능합니다.
다들 골든크로스 = 매수 / 데드크로스 = 매도 라는 기본적인 공식은 아실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골든 크로스나 데드크로스가 만들어졌다고 진입했다가 손실을 많이 본 경험도 있으실껍니다.
저 역시도 그런적 있구요.
골든 크로스 후 눌림목을 만들기 위해 조정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단순 기술적 반등의 경우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분명한건 상승추세일때는 이평선이 정배열 / 골든크로스 상태이고 하락 추세에서는 역배열 / 데드크로스 상태인점은 100% 명확합니다.
또한 하락추세의 끝은 이평선이 역배열이고 상승추세의 끝은 이평선이 정배열입니다.
그 지점이 추세의 끝인지 아닌지 알 수 없지만 우리 모두의 공통된 소망인 추세의 끝점에 무리하게 도전을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무리하게 떨어지는 칼날과 이평선의 역배열 상태에서 매수 포지션을, 반대로 힘차게 솟아오르는 모습과 이평선이 정배열인 상태에서 매도포지션을 잡으려 합니다.
그러면서 청산이 나고 손실을 보게 되죠.
물론 저 역시도 그렇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안정적인 매매를 위해 이평선이 정배열인 상태에서 눌림목에 매수포지션을 이평선이 역배열인 상태에서 기술적 반등에 매도포지션을 가져가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차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골든크로스가 발생한, 즉 MACD가 0선을 돌파한 구간을 노려서 진입을 하게 된다면 너무 늦은 감이 있습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시그널 선입니다.
시그널 선은 MACD선의 9일간의 평균값인데
쉽게 설명을 하자면 MACD선이 캔들이라고 봤을때 시그널선은 MACD선의 9일 이동평균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캔들이 이평선의 저항을 뚫으면 상승하듯이,
반대로 캔들이 이평선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하락하듯이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지 MACD선이 캔들이 아닌 라인이라는 점은 차이가 있죠.
이 시그널 선을 통해서 우리는 MACD선의 후행성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MACD선이 0선을 상방 돌파하기 전에 MACD선과 시그널선이 골든크로스를 만들었고 상승을 하였습니다.
반대로 MACD선이 0선을 하방 돌파하기전에 MACD선과 시그널선이 데드크로스를 만들고 하락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X 표시 한곳을 보시면 가짜 신호가 나오기도 합니다.
따라서 언제나 리스크 관리를 위해 스탑로스는 필수 겠죠.
이 부분은 어떻게 극복하느냐?
상대적으로 여러 타임프레임을 비교하여 동일한 시그널이 출현을 하였을때 해당 방향으로 포지션을 진입하면 신뢰도는 올라갑니다.
2023년 6월 17일 바이낸스 비트코인 현물차트 15분봉입니다.
해당 위치에서 MACD선이 0선을 상방 돌파한 모습이 나왔습니다.
물론 이전에 상승한 모습이 나왔습니다만, 좀 더 큰 시간대와 함께 비교해보겠습니다.
동일한 시간에 4시간봉 모습입니다.
마찬가지로 MACD선이 0선을 상방 돌파한 모습이 나왔습니다.
15분봉 기준으로 봤을때는 앞서 0선을 먼저 돌파하였으나, 상대적으로 큰 시간프레임인 4시간봉에서는 좀 더 늦게 신호가 나왔습니다.
이후 보시다시피 큰 상승이 나왔습니다.
또다른 응용방법과 예시를 한번 더 보겠습니다.
2023년 4월 14일 바이낸스 비트코인 현물차트 15분봉입니다.
MACD선이 0선을 하향 돌파하지는 않았지만 고점은 상승하고 MACD는 낮아지는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면서 MACD선과 시그널선이 데드크로스가 만들어졌습니다.
동일한 날짜 4시간봉의 모습입니다.
마찬가지로 다이버전스와 함께 MACD선과 시그널선이 데드크로스 된 모습입니다.
이후 보시다시피 큰 조정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보조지표는 단일 시간프레임이 아닌 여러 시간대를 연계를 시켜서 조합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단일 시간프레임에 고립되어 사용하면 상위 프레임의 추세와 반대로 매매를 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하고 그러다가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시간을 연계한다면 그로 인한 손실은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제 MACD선이 0선을 돌파하는 경우와 시그널선과 크로스 되는 모습 그리고 다이버전스까지 간단하게 설명을 드렸습니다.
마지막으로 히스토그램인데,
이렇게 MACD선과 시그널선이 골든크로스일때는 양의 값을 반대로 데드크로스 일때는 음의 값을 갖습니다.
추세가 약해지면서 색이 연해지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다보니 설명은 이정도로만 드리겠습니다.
물론 히스토그램만을 이용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저의 개인적인 관점으로는 크게 활용도를 못느꼈습니다.
아마 제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한번 더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해서 말씀 드리자면,
만약에 낮은 시간대에서 하락 시그널이 나왔는데 높은 시간대에서 상승 시그널이 지속이 되고 있다면 낮은 시간대의 하락 신호는 무시가 되거나 짧은 조정으로 끝날 확률이 높습니다.
반드시 상하위 시간 프레임과 연계를 시켜야 하며 오늘 설명드린 MACD의 경우 0선 위에서 데드크로스 0선 아래서 골든크로스는 단기 하락 및 단기 상승일 가능성도 있으니 항상 유의 하여야 합니다. 높은 시간대와 낮은 시간대의 시간프레임에서 동일한 신호가 나온다면 그때 진입하는 것이 더욱 높은 확률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드리고 싶은 말씀은,
보조지표는 말그대로 보조의 역할을 하는 지표입니다.
너무 맹신하다가 관점이 한쪽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항상 조심하시기 바라며 언제든지 반대의 신호 잘못된 신호들이 나올 수 있다는 점 염두 하시기 바랍니다.
[교육] 기술적분석의 기초 ④⭐ 서 론 ⭐
"캔들은 속일 수 있어도 거래량은 속일 수 없다" 는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원칙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 말의 핵심은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캔들은 속일 수 있다”
캔들 패턴은 가격 움직임을 나타내는 시각적 신호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가격 움직임은 때때로 거래량과 관계없이 변할 수 있습니다.
즉, 캔들 패턴은 투자자들을 오인하거나 속일 수 있습니다.
“거래량은 속일 수 없다”
거래량은 주식 시장에서 실제로 거래된 주식의 수를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실제 행동을 반영합니다.
거래량은 어떠한 경우에도 거짓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거래량은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과 활발한 매매 활동을 정확하게 나타내며, 가격 움직임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캔들로만 주가를 분석하는 것은 부족 할 수 있으며, 이를 보완하는 거래량 분석 방법 을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다음으로 비트코인 거래량 실전 해석 방법 입니다.
먼저, 거래량을 이해하기 위해서 "K"의 의미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K" 는 "킬로" (kilo)의 약자로, 공식적으로는 메트릭 시스템에서 1,000을 나타내는 접두사입니다.
이것은 거리, 무게, 부피 및 다른 측정 단위에서 사용됩니다.
Kilometer(킬로미터)
- 1킬로미터(1km)는 1,000m 입니다.
Kilogram (킬로그램)
- 1킬로그램(1kg)은 1,000g) 입니다.
Kiloliter (킬로리터)
- 1킬로리터 (1kL)은 1,000L 입니다.
이에 비트코인 가격이 20K라는 것은 20,000달러이며, 30K라는 것은 30,000달러로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본격적인 비트코인 거래량 해석 방법 입니다.
- 1분봉, 현물 : 비트코인 거래량이 1K라는 것은 비트코인이 1분에 1,000개가 거래된 것입니다.
- 1분봉, 현물 : 비트코인 거래량이 3K라는 것은 비트코인이 1분에 3,000개가 거래된 것입니다.
- 1분봉, 현물 : 비트코인 거래량이 5K라는 것은 비트코인이 1분에 5,000개가 거래된 것입니다.
개당 비트코인 가격을 40,000,000원(4천만원)이라고 가정한다면
- 1분봉, 현물 : 1K(1,000개) X 40,000,000원 = 40,000,000,000원(400억)
- 1분봉, 현물 : 3K(3,000개) X 40,000,000원 = 120,000,000,000원(1,200억)
- 1분봉, 현물 : 5K(5,000개) X 40,000,000원 = 200,000,000,000원(2,000억)
즉, 1분에 업비트와 같은 현물거래소에서 400억, 1,200억, 2,000억원이 각각 거래된 것입니다.
현물거래소에서 1분에 위와 같은 거래량이 발생하면 매우 큰 덤핑 또는 펌핑이 발생했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선물거래소의 레버리지(Leverage) 개념 및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 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레버리지(Leverage) 는 투자자가 자신의 자본을 늘리기 위해 빌린 자금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물거래 투자자는 거래소로부터 대여금을 받아 자신의 자금을 늘리며 이를 통해 더 큰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즉, 레버리지는 투자자가 자신의 자본을 늘리기 위해 빌린 자금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 은 투자자가 대여금을 얼마나 많이 받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10배 레버리지는 투자자가 자신의 자본에 비해 10배 더 큰 포지션을 취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바이낸스 선물거래소의 평균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이 10이라고 가정 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 1분봉, 선물 : (1K(1,000개) X 40,000,000원)) / 10 = 4,000,000,000원(40억)
- 1분봉, 선물 : (3K(3,000개) X 40,000,000원)) / 10 = 12,000,000,00원(120억)
- 1분봉, 선물 : (5K(5,000개)) X 40,000,000원)) / 10 = 20,000,000,000원(200억)
즉, 선물거래소는 레버리지로 현물거래소보다 거래량이 더욱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 입니다.
그런데 생각해볼 점은 바이낸스 선물거래소에서 1분에 5K 거래량이 발생했다면 200억 원이 거래된 셈 입니다.
하방 시에는 누가 1분에 200억 원어치 비트코인을 시장가로 매도했다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촘촘하게 걸어두었던 시장참여자들의 매수물량을 흡수하기도 한 셈입니다.
그렇기에 비트코인 저점은 아래 차트와 같이 1분봉에서 대략 5K 이상 덤핑이 발생 할 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거래량을 이해하시면 다른 기술적분석 도구와 결합하여 선물거래 포지션을 개시하는데 유용합니다.
⭐ 결 론 ⭐
캔들로만 분석하면 표면적인 모습에 속을 수 있지만, 거래량은 시장 참여자들의 실제 거래 활동을 반영 하기 때문에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캔들과 거래량은 함께 고려 되어야 하며, 거래량의 변화와 함께 주가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판단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거래량 강도 지표(On-Balance Volume, OBV)” 를 알아보며, 매매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